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Python coding

[Python 기초] 연산자(Operator)

by Little Boy 2023. 3. 21.

Python에서 연산자 불리는 것들은 엄밀히 보자면 수학에서 정의하는 연산자에 해당되지 않으나 간단히 산술연산자(덧셈, 뺄셈...)를 떠올려도 충분할 듯하다.

 

- 산술 연산자

1+1 # 덧셈 +
1-1 # 뺄셈 -
2**3 # 지수 **
2*3 # 곱셈 *
2/4 # 나눗셈 /

- 비교 연산자

a==b # a,b 값이 동일 <--> a!=b
a>b # a가 b보다 크다
a<b
a>=b
a<=b

- 비트 연산자

a&b # and
a|b # or
a^b # xor
a~b # not
a<<b # 왼쪽으로 비트수 b만큼 이동
a>>b # 오른쪽으로 비트수 b만큼 이동

- 논리 연산자

a and b 
a or b
not a # a의 논리 상태 반전

- 멤버 연산자

a in [a, b, c] # 포함 여부, bool type return
a not in [a, b, c] # 비포함 여부, bool type return

- 식별 연산자

a is b # 변수 a,b가 같은 장소에 저장된 값을 가르키는지=참조가 동일한지
a is not b # 변수 a,b가 같은 장소에 저장된 값을 가르키는지=참조가 동일한지

※ python에서의 a=1의 의미

1이라는 값이 있는 메모리 주소를 a가 가지게 된다. 즉 a는 a 자체가 숫자 1이 되는 것이 아니라 숫자 1이라는 값을 가진 메모리 주소를 가르키는 pointer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python에서 a=[1,2,3] 과 같은 list에서 첫번째 값을 호출 할 때 a[1]이 아닌 주소의 관점에서 거리가 0이라는 의미로 a[0]을 사용하여 호출한다.

'잡학다식 > Python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기초] 함수(function)  (0) 2023.03.21
[Python 기초] 조건/반복문  (0) 2023.03.21
[Python 기초] 자료형(Data type)  (0)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