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Python 기초] 함수(function) 함수는 input을 받아 output을 return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Python에서는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f (함수명)(input): # def Add(x1,x2) (함수내용) # y=x1+x2 return (output) # return y 2023. 3. 21.
[Python 기초] 조건/반복문 Coding을 하다보면 분기와 반복이 발생한다. 기본적인 분기 혹은 반복을 하는 방법에는 if문와 for문/while문이 있다. if (조건) : (내용1) # python은 구문을 구분할때 indentation으로 구분한다 elif (조건) : (내용2) . . . else : (내용3) for (조건) : (내용) while (조건) : (내용) 2023. 3. 21.
[Python 기초] 연산자(Operator) Python에서 연산자 불리는 것들은 엄밀히 보자면 수학에서 정의하는 연산자에 해당되지 않으나 간단히 산술연산자(덧셈, 뺄셈...)를 떠올려도 충분할 듯하다. - 산술 연산자 1+1 # 덧셈 + 1-1 # 뺄셈 - 2**3 # 지수 ** 2*3 # 곱셈 * 2/4 # 나눗셈 / - 비교 연산자 a==b # a,b 값이 동일 a!=b a>b # a가 b보다 크다 a=b a 2023. 3. 21.
[Python 기초] 자료형(Data type) 모든 Programming language에는 자료형이 존재한다. 자료형(Data type)이란 말 그래도 "자료의 형태"로 해당 Data가 어떠한 형태인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이라는 Data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자료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1) 정수형 : 1 (2) 소수형 : 1.0000 (3) 문자형 : 일 Python에는 변수(Variable)들이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자료형을 가진다. - 숫자형 변수 : a=1 (Interger type 정수형) a=1.1 (float type/실수형) - 문자형 변수 : a='Hello' (String type) ※ ' 대신 " 도 사용가능하다. - 논리형 변수 : a=bool(1) or a=True (bool type 논리형) a=bool(0) or .. 2023. 3. 21.
OECD 경기 선행 지수 (Composite leading indicator, CLI) OECD 경기 선행 지수란 매달 2째주 화요일에 OECD에서 발표하는 지수로 경기의 전환을 선행적으로 보여주도록 만들어졌으며 정의는 다음과 같다. (https://data.oecd.org/leadind/composite-leading-indicator-cli.htm) The composite leading indicator (CLI) is designed to provide early signals of turning points in business cycles showing fluctuation of the economic activity around its long term potential level. CLIs show short-term economic movements in qualitativ.. 2023. 3. 19.
재테크 상식 - 개인연금/퇴직금 근로자의 노후 준비와 절세를 위해 꼭 알아야 할 것이 바로 퇴직금과 개인연금이다. ​ "퇴직금" ​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로를 제공하고 퇴직하는 경우에 지급되는 금전(12개월 근무시 1개월치 퇴직금 적립)을 의미한다. 퇴직금은 크게 DB형과 DC형이 있다. DB형(확정급여형, Defined Benefit) : 퇴직할때까지 적립했다가 몰아서 받는 것이며 직전 3개월치 월 평균급여*근무연수 만큼 받기때문에 받는 금액이 확정되어있다. DC형(확정기여형, Defined Contribution) : 매달 퇴직금을 나눠서 받게 되며 받은 퇴직금은 근로자가 운용할 수 있다. ​ 따라서 DB형의 경우 퇴직 직전 3개월 평균급여이기때문에 급여가 꾸준히 오르는 경우 적합하며, DC형의 경우 근로자가 직접 운용할 .. 2023. 3. 19.
재테크 상식 - 연말정산 관련 용어 정리 돈을 벌면 세금을 낸다(소득이 있으면 세금이 따라온다) 우리가 벌어들이는 모든 소득은 종합소득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한 세금이 종합소득세이고 5월쯤 국세청에 신고한다. 반면 회사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근로소득에 대해 1월쯤 연말정산을 따로 실시한다. - 요약하자면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연말정산만 해도 ok. - 이외 소득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연말정산+종합소득신고 혹은 종합소득신고 ok. - 근로소득이 없는 경우 종합소득신고만 ok. 종합소득세(종소세) : 근로소득, 금융소득, 부동산소득, 기타소득 등 전년도에 발생하였던 모든 소득의 합에 대한 세금※ 종합소득세 신고기한 (5월) vs 연말정산 기한 (직장인의 "근로소득" 신고 기한) (1월~2월)※ 복권 당첨금 등 분리과세 항목의 경우 종합소득에 포.. 2023. 3. 19.
[23.2] 부동산 시장 -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 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나 정부 정책으로 하락폭이 다소 축소 2023. 3. 19.
[22.11] 부동산 시장 -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 하락폭 확대 중으로 특이사항 없음 2023. 3. 19.
[충남 아산] 꽁당보리밥 "보리밥" 아산에서 든든하게! 가성비 있게! 먹고 싶다면 추천할 만한 맛집 보리밥 먹고 후식(식혜, 뻥튀기 등)까지 먹으면 든든 그 자체 2023. 3. 19.